사용 언어 : JAVA
문제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61990?language=java
레벨 : 1
✅ 문제 요약
- 프로그래머스 "바탕화면 정리" 문제는 완탐으로 풀면 되는 문제.
- 시작점 => (최초 서류가 있는 x 좌표, 서류 위치 중 제일 낮은 y 좌표)
- 끝점 => ( 마지막 서류가 있는 x 좌표, 서류 위치 중 제일 높은 y 좌표)
✅ 문제 설명
- 문제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는 머쓱이는 프로그래머스에서 문제를 풀고 나중에 다시 코드를 보면서 공부하려고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 바탕화면에 아무 위치에나 저장해 둡니다. 저장한 코드가 많아지면서 머쓱이는 본인의 컴퓨터 바탕화면이 너무 지저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프로그래머스에서 작성했던 코드는 그 문제에 가서 다시 볼 수 있기 때문에 저장해 둔 파일들을 전부 삭제하기로 했습니다.
컴퓨터 바탕화면은 각 칸이 정사각형인 격자판입니다. 이때 컴퓨터 바탕화면의 상태를 나타낸 문자열 배열 wallpaper가 주어집니다. 파일들은 바탕화면의 격자칸에 위치하고 바탕화면의 격자점들은 바탕화면의 가장 왼쪽 위를 (0, 0)으로 시작해 (세로 좌표, 가로 좌표)로 표현합니다. 빈칸은 ".", 파일이 있는 칸은 "#"의 값을 가집니다. 드래그를 하면 파일들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파일들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머쓱이는 최소한의 이동거리를 갖는 한 번의 드래그로 모든 파일을 선택해서 한 번에 지우려고 하며 드래그로 파일들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드래그는 바탕화면의 격자점 S(lux, luy)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한 상태로 격자점 E(rdx, rdy)로 이동한 뒤 마우스 왼쪽 버튼을 떼는 행동입니다. 이때, "점 S에서 점 E로 드래그한다"라고 표현하고 점 S와 점 E를 각각 드래그의 시작점, 끝점이라고 표현합니다.
- 점 S(lux, luy)에서 점 E(rdx, rdy)로 드래그를 할 때, "드래그 한 거리"는 |rdx - lux| + |rdy - luy|로 정의합니다.
- 점 S에서 점 E로 드래그를 하면 바탕화면에서 두 격자점을 각각 왼쪽 위, 오른쪽 아래로 하는 직사각형 내부에 있는 모든 파일이 선택됩니다.
예를 들어 wallpaper = [".#...", "..#..", "...#."]인 바탕화면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바탕화면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S(0, 1)에서 E(3, 4)로 드래그하면 세 개의 파일이 모두 선택되므로 드래그 한 거리 (3 - 0) + (4 - 1) = 6을 최솟값으로 모든 파일을 선택 가능합니다
(0, 0)에서 (3, 5)로 드래그해도 모든 파일을 선택할 수 있지만 이때 드래그 한 거리는 (3 - 0) + (5 - 0) = 8이고 이전의 방법보다 거리가 늘어납니다.
머쓱이의 컴퓨터 바탕화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wallpap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바탕화면의 파일들을 한 번에 삭제하기 위해 최소한의 이동거리를 갖는 드래그의 시작점과 끝점을 담은 정수 배열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드래그의 시작점이 (lux, luy), 끝점이 (rdx, rdy)라면 정수 배열 [lux, luy, rdx, rdy]를 return하면 됩니다.]
✅ 핵심 아이디어/알고리즘
- indexOf로 #(서류)가 있는 위치 찾기
- 시작점 => (최초 서류가 있는 x 좌표, 서류 위치 중 제일 낮은 y 좌표)
- 끝점 => ( 마지막 서류가 있는 x 좌표, 서류 위치 중 제일 높은 y 좌표)
✅ 직접 구현한 코드 (JAVA)
import java.util.*s;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wallpaper = {".#..", "..#..", "...#."};
int minY = Integer.MAX_VALUE;
int maxY = Integer.MIN_VALUE;
int lastX = 0;
int firstX = 0;
boolean firstXflag = true;
for(int x=0; x<wallpaper.length; x++){
int findMinY = wallpaper[x].indexOf("#");
int findMaxY = wallpaper[x].lastIndexOf("#")+1;
if( findMinY > -1){
if(firstXflag){
firstX = x;
firstXflag = false;
}
if(minY > findMinY) minY = findMinY;
if(maxY < findMaxY) maxY = findMaxY;
lastX = x+1;
}
}
int[] answer = {firstX, minY, lastX, maxY};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nswer));
}
}
✅ Chat Gpt 리팩토링 코드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P1233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wallpaper = {".#..", "..#..", "...#."};
int minX = Integer.MAX_VALUE;
int minY = Integer.MAX_VALUE;
int maxX = Integer.MIN_VALUE;
int maxY = Integer.MIN_VALUE;
for (int x = 0; x < wallpaper.length; x++) {
for (int y = 0; y < wallpaper[x].length(); y++) {
if (wallpaper[x].charAt(y) == '#') {
minX = Math.min(minX, x);
minY = Math.min(minY, y);
maxX = Math.max(maxX, x + 1); // 끝점 포함 → +1
maxY = Math.max(maxY, y + 1); // 끝점 포함 → +1
}
}
}
int[] result = {minX, minY, maxX, maxY};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result));
}
}
✅ 회고 / 배운 점
- 처음에는 단순히 indexOf, lastIndexOf만 사용해서 구현했지만, 조건 처리를 잘못하면 일부 테스트 케이스에서 틀릴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 드래그의 끝 좌표는 항상 `+1`을 해줘야 한다는 점(포함 범위)을 잊지 않도록 주의
- GPT 리팩토링을 통해 변수명을 X, Y 기준으로 명확하게 구분하고, 조건문도 간결해지면서 코드가 훨씬 깔끔해졌다.
- 2차원 문자열 배열 탐색 문제는 자주 출제되므로, charAt(y)로 직접 탐색하는 방식도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JadenCase 문자열 만들기 JAVA 풀이 (0) | 2025.04.16 |
---|